본문바로가기 글자 크게 글자 원래대로 글자 작게
  • 홈으로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
 
우리학교일정 일정 더보기
이전달 일정    2023.03    다음달 일정
5월 음식궁합(콩/쌀, 고추장/된장, 토마토/설탕)
작성자
김희련
등록일
May 23, 2014
조회수
5178
URL복사
첨부파일
Link
쌀과 콩  
 
에는 단백질로 필수아미노산, 라이신 이 적고 유황 함유 아미노산인 메치오닌이 많은 편인데 비해 에는 단백질과 라이신이 많으나 메치오닌이 적다.

그러므로 제품을 합치면 단백질의 영 양효과가 상승한다. 또 은 상대적으로 에 적게 들어 있는 비타민B1을 많이 가지고 있다

 

 

토마토와 설탕  

 

 

 

토마토설탕

고기나 생선 등 기름기 있는 음식을 먹을 때 토마토를 곁들이면 위 속에서의 소화를 촉진시키고 위의 부담을 가볍게 하며 산성식품을 중화시키는 역할도 하므로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다.
토마토에는 루틴이 들어 있는데 혈관을 튼튼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혈압인 사람에게 아주 좋은 식품이다.
환자들의 음료로 토마토 주스가 좋은 것은 유기산이 적어 자극성이 적은데다 영양가가 우수하고 소화성이 좋기 때문이다.
토마토 주스는 1928년 처음 상품화되어 꾸준히 애용되어 왔다. 토마토 착즙에 소금을 0.5% 가량 넣고 살균해서 만들고 있다.
토마토 100g 중에는 나트륨 2mg과 칼륨 230mg이 들어 있다. 칼륨은 짜게 먹어서 생기는 나트륨의 피해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무기질이다.
나트륨 함량에 비해 칼륨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 주스로 가공할 때 소금을 넣게 되었던 것이다. 최근에는 소금의 양을 줄이자는 운동에 따라 소금을 안 넣고 만든 제품도 나오고 있다.
서양에선 토마토가 샐러드나 요리 재료로 이용되는데, 한국에선 식후 과일로 먹는 일이 많다.
후식으로 먹다 보니 단맛이 부족해 설탕을 듬뿍 쳐서 상에 내놓는다.
달아서 혀끝은 만족할지 모르나 영양적으로 평가해 보면 좋지 않다.
체내에서 설탕을 신진대사하기 위해 토마토가 가지고 있는 비타민 B의 손실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토마토는 그대로 먹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추장과 된장  

 

 

 

고추장된장은 찰떡궁합

흔히 고추장을 넣어 끓이는 생선매운탕이나 찌개는 고추장과 고춧가루, 소금 등으로 맛을 내고, 된장을 넣어 끓이는 국이나 찌개는 된장과 국간장으로 맛을 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고추장찌개에는 된장을, 된장국에는 고추장을 아주 조금만 넣어 볼 것. 본래의 맛을 크게 해치지 않으면서 맛을 상승시켜 준다.
특히 생선매운탕에 살짝 들어간 된장은 생선의 비린내를 가시게 한다. 또한 된장국에 고추장을 살짝 풀면 된장국의 뒷맛을 깔끔하게 마무리해 준다.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 공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목록
이름 덧글 등록일
새글[0]/전체[204]
번호 제목 등록인 등록일 조회수 첨부
114 7~8월 식품이야기(수박) 김희련 Jul 8, 2014 3403  
113 7~8월 식품이야기(닭고기) 김희련 Jul 8, 2014 3838  
112 6월 식품이야기(애호박) 김희련 Jun 16, 2014 3948  
111 6월 식품이야기(새싹) 김희련 Jun 16, 2014 4000  
110 5월 영양상식 - 소박한 밥상은 건강을 지켜주는 밥상 김희련 May 23, 2014 4331  
109 5월 음식궁합(콩/쌀, 고추장/된장, 토마토/설탕) 김희련 May 23, 2014 5178  
108 5월 식품이야기(브로콜리,돼지고기) 김희련 May 23, 2014 3942
107 4월 영양상식 :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 - 편식 김희련 Apr 21, 2014 4336  
106 4월음식궁합(불고기/들깻잎, 오징어/양배추) 김희련 Apr 21, 2014 4744  
105 4월식품이야기(버섯,메론) 김희련 Apr 21, 2014 3859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다음 10페이지 이동 마지막페이지 이동
목록
  • 참고하세요

영양상담실

  •  현재접속자 : 0명
  •  오늘접속자 : 46명
  •  총 : 19,311,665명